KlayGachaMachine Docs
  • About
    • Introduction
    • Product
  • Overview
    • 왜 Klay-Gahca-Machine인가?
    • 먼저 설치해야 하는 것들
    • Klay-Gacha-Machine 설치하기​
  • Klay-Gacha-Machine
    • 준비물
      • 표준 Metadata
      • Pinata IPFS Key 가져오기
      • AWS S3 api key 가져오기
    • Gacha-CLI Config 설정
    • 이미지, 메타데이터 옮기기
    • Gacha-CLI Upload
      • Pinata IPFS를 사용한 방법
      • AWS S3를 사용한 방법
      • 이미지가 이미 저장소에 업로드 되어있는 경우
    • 화이트리스트 적용
    • NFT 대량전송을 통한 에어드랍
    • CLI를 이용한 NFT 발행
    • 지갑당 구매한도 적용
    • 발행된 NFT 소각
  • Klay-Gacha-MachineV2
    • 준비물
      • 표준 Metadata
      • Pinata IPFS Key 가져오기
      • AWS S3 api key 가져오기
    • Gacha-CLI Config 설정
    • 이미지, 메타데이터 옮기기
    • Gacha-CLI Upload
      • Pinata IPFS를 사용한 방법
      • AWS S3를 사용한 방법
    • 화이트리스트 적용
    • NFT 대량전송을 통한 에어드랍
    • CLI를 이용한 NFT 발행
    • 지갑당 구매한도 적용
    • 발행된 NFT 소각
    • NFT 최대 발행갯수 수정
    • NFT의 랜덤 민팅 기능 적용
    • NFT를 추가발행하는 경우
  • Mint-UI
    • Mint UI 환경파일 설정
    • Mint UI 테스트
  • CONTACT US
Powered by GitBook
On this page
  1. Klay-Gacha-MachineV2
  2. 준비물

표준 Metadata

Previous준비물NextPinata IPFS Key 가져오기

Last updated 3 years ago

Metadata의 standard, 즉 표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
{ “name”:”NFT의 이름", “symbol”:”NFT의 토큰심볼”, “description”:”NFT의 설명, 그러니까 한줄짜리 홍보용 문구”, “image”:”{해시값} 이미지의 주소", “attributes”:[{“trait_type”:”속성명 ex)hair color”,”value”:”속성값 ex) red”}] }

가장 필수적인 것들만 적어놓았습니다. 이 외에도 Json 데이터가 허용하는 값이면 뭐든지 가능합니다.

각 이름은 “NFT이름 #001”처럼 번호를 매기는 것이 일반적이고, 심볼은 넣지 않아도 되지만 구분을 위해 넣는 것이 좋습니다. 속성값(attribute) 또한 넣지 않아도 무방하지만, 제너러티브 NFT를 만드는 이유는 판매하는 것이며, 상품의 특성이 없는 한 구매까지 이어지지도 않으니 보통은 attribute를 넣습니다. 속성값은 몇개를 넣어도 상관은 없지만, 보통 3~6개정도 넣습니다.. 속성값 자체에 Rarity를 common, rare, unique와 같은 방식으로 넣기도 합니다.

https://ipfs.io/ipfs/